책에서 두 가지 이상의 의미를 표현할 수 있는 클래스(태그 달린 클래스)를 본 적이 있을 거라 했지만 나는 처음 봤고 보자마자 이런 걸 왜 쓸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단점은 살펴보지 않고 바로 이러한 태그 달린 클래스를 클래스 계층구조로 바꾼 예시만 살펴보자.
태그 달린 클래스
하나의 클래스 Figure에 Shape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하는 오류를 내기 쉽고, 비효율적인 클래스다.
클래스 계층구조로 변환
1. 계층 구조의 루트가 될 추상 클래스를 정의
2. 태그 값에 따라 동작이 달라지는 메서드들을 루트 클래스의 추상 메서드로 선언
3. 태그 값에 상관없이 동작이 일정한 메서드들을 루트 클래스에 일반 메서드로 추가 (모든 하위 클래스에서 공통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필드들도 전부 루트 클래스로 올린다)
Figure 클래스에서는 태그 값에 상관없는 메서드가 하나도 없고, 모든 하위 클래스에서 사용하는 공통 데이터 필드도 없으므로 추가할 작업이 없다.
4. 루트 클래스를 확장한 구체 클래스를 의미별로 하나씩 정의
클래스 계층구조는 태그 달린 클래스의 단점을 모두 날려버린다. 간결하고 명확하며, 루트 클래스의 코드를 건드리지 않고도 다른 프로그래머들이 독립적으로 계층구조를 확장하고 함께 사용할 수 있다.
클래스 계층구조에서라면 다음과 같이 정사각형이 사각형의 특별한 형태임을 아주 간단하게 반영할 수 있다.
예시에서 접근자 메서드 없이 필드를 직접 노출했지만 공개할 클래스라면 필드를 노출하지 말자.
'Java > Effective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ffective Java] Item 25. 톱레벨 클래스는 한 파일에 하나만 담으라 (0) | 2023.05.08 |
---|---|
[Effective Java] Item 24. 멤버 클래스는 되도록 static으로 만들라 (0) | 2023.05.05 |
[Effective Java] Item 22. 인터페이스는 타입을 정의하는 용도로만 사용하라 (0) | 2023.05.03 |
[Effective Java] Item 21. 인터페이스는 구현하는 쪽을 생각해 설계하라 (0) | 2023.05.03 |
[Effective Java] Item 20. 추상 클래스보다는 인터페이스를 우선하라 (0) | 2023.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