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창 타임머신에 관해 연구하고 있던 찰나에 나의 흥미를 돋우는 제목의 문제를 발견했다. 해당 문제를 풀면서 graph를 class Node를 이용해 구성하였다. 특이점은 Node에 출발점, 도착점, 가중치를 모두 선언하지 않고 도착점, 가중치만 구성하여서 해당 Node가 있는 index가 출발점 역할을 하도록 했다. 처음에는 파이썬에서의 버릇 때문에 위와 같이 구성했는데 생각해 보면 만약 한 정점에서만 출발하는 간선이 많을 경우 비효율 적으로 예상됨에 따라 Node에 출발점, 도착점, 가중치를 모두 선언하고 하나의 ArrayList에 선언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또 벨만-포드 알고리즘에서 왜 V-1번만 반복해야 하는지 의문을 해소하지 못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