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제 자체가 설명이 불친절하다.
문제를 해석하자면 빈자리에 누울 때 벽부터 짐이 있는 X 까지가 한 가지 경우의 수이다.
즉 ..X.. 라면 두 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는 뜻이다.
변수 switch는 이 경우의 수를 카운트할 때 까다로운 부분을 해소해준다.
switch가 0일 때만 빈자리 .를 카운트해준다. count가 2라면 경우의 수를 +1 해주고 switch를 1로 변경해 X를 만날 때까지 switch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빈자리 .를 카운트하지 않는다.
만약 X를 만나게 된다면 switch를 0으로 변경해 다시 빈자리 .를 카운트할 수 있게 해 준다.
'알고리즘 문제 > 구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구현 (쿠키의 신체 측정) (1) | 2023.03.03 |
---|---|
[Java] 구현 (한 줄로 서기) (0) | 2023.02.18 |
구현 (마법사 상어와 토네이도) (0) | 2022.07.01 |